열린송현녹지광장에 마련한 ‘하늘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메인 전시가 열리는 주요한 공간이다.
2017년 첫선을 보인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지난 제1회 ‘공유도시’, 제2회 ‘집합도시’, 제3회 ‘크로스로드, 어떤 도시에 살 것인가’를 통해 서울의 미래를 그리는 장을 마련해왔다. 올해 네 번째 자리에서는 ‘땅의 도시, 땅의 건축: 산길, 물길, 바람길의 도시, 서울의 100년 후를 그리다’라는 주제 아래 주제전, 도시전, 현장 프로젝트, 국제스튜디오, 교육 프로그램, 참여 프로그램까지 총 6개의 프로젝트를 통해 풍성한 이야깃거리를 들려준다. 이번 행사의 총감독을 맡은 이는 바로 비씨에치오 파트너스의 수장이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건축가 가운데 한 사람인 조병수다. 그와 함께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인 천의영이 주제전 공동 큐레이터를 맡고, 건축 저널리스트 임진영과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염상훈이 게스트 시티전의 공동 큐레이터를 맡는다. 그리고 덴마크 오르후스 건축대학교 교수 레이프 호이펠트 한센Leif Høgfeldt Hansen이 글로벌 스튜디오 큐레이터로서 참여한다. 한편 다이아거날 써츠 건축사사무소 대표 김사라는 현장 프로젝트 큐레이터로 함께하며 힘을 보탠다.
(좌) 총감독에 임명된 조병수 건축가. (우) 주제전 공동 큐레이터 천의영 건축가.
땅의 도시, 땅의 건축
이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탐구하는 주제 ‘땅의 도시, 땅의 건축’은 과연 어떠한 화두를 던지나? 이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선 건축에서 ‘땅, 물, 바람’으로 대표할 수 있는 지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짚고 가야 한다. 현대건축에서는 기술의 도움으로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지형을 평평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이는 건축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다. ‘건축’이라는 작은 단위가 모여 ‘도시’로 발전하듯이 이번 비엔날레는 땅, 물, 바람이 관통하는 건축에서 출발해 이들의 흐름이 도시로 이어지는 연결성에 주목한다. ‘땅의 건축’은 쉽게 말하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의 환경적, 생태적 조건과 맥락을 다루는 셈이다. ‘땅의 도시’는 서울의 지형에 주목해 땅과 물, 바람, 즉 산과 강, 바람의 흐름을 틀로 잡아 성읍을 세운 옛 한양에서부터 출발한다. 우리가 얼마나 환경을 존중했는지, 지난 100여 년간 얼마나 이를 파괴하며 현대화에 힘썼는지 살펴본다. 궁극적으로는 100년 뒤 친환경 고밀도 도시 서울에 대한 마스터 플랜을 그려보는 것이 이번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목표다.
WHAT TO EXPECT
이번 비엔날레의 메인인 주제전 <땅의 도시, 땅의 건축>은 총감독 조병수와 천의영 경기대 교수가 공동 큐레이터를 맡아 열린송현녹지광장과 서울도시건축전시관에서 펼쳐진다. 리즈비 하산Rizvi Hassan, 스튜디오 워로필라Studio Worofila, 조신형, 최욱, 오픈패브릭Openfabric, 앙상블 스튜디오Ensamble Studio, 모리 도시코Mori Toshiko 등 국내외에서 활약하고 있는 작가 및 건축가를 비롯해 건축사무소 19여 팀이 참여한다. 특히 지난 5월 열린송현녹지광장에 지상 12m 높이의 구조물인 ‘하늘소’를 새롭게 개장했는데, 이곳에 주제전을 설치해 좀 더 개방된 공간에서 주변 환경 전체를 조망할 수 있도록 만들기도 했다.
프랑크 바코+살라자르세케로메디나 Frank Barkow+Salazarsequeromedina의 현장 파빌리언 조감도.
서울 100년 마스터 플랜을 살펴보는 <서울 그린 네트워크>전도 기대할 만하다. 전시는 ‘서울의 정체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의 선조는 산과 강, 바람의 흐름을 고려해 옛 서울, 한양에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출현과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자연의 흐름은 끊어지고, 서울의 고유한 풍수지리적 가치 역시 퇴색하고 말았다. 이번 비엔날레는 ‘기본’으로 돌아갈 것을 제안한다. 잊고 있던 가치를 되살려 좀 더 나은 100년의 미래를 그려보자는 것. 인공지능(AI),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등 첨단 기술과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고, 자연과 어우러질 수 있는 도시, 즉 친환경이면서 고밀도를 자랑하는 도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결론이다. 서울시청 시민청, 서울도시건축전시관 및 연결 통로에서 국제공모전 선정 작가 40팀이 협력해 마련한 유형별 서울 마스터 플랜을 볼 수 있다. 또 이지현·윤자윤·홍경진, 루이스 롱기Luis Longhi, 유현준, 조민석, MVRDV, 스뇌헤타Snøhetta 등 초청 작가 14팀의 다양한 연구 결과물도 선보일 예정이니, 각 팀이 무엇에 집중했는지 시간을 들여 꼼꼼히 살펴볼 것을 추천한다.
열린송현녹지광장에는 다양한 행사도 마련된다. 파빌리언을 비롯해 글로벌 스튜디오, 현장 프로젝트도 진행될 예정.
Related articles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남다른 시선
메이크업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에르메스 뷰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그레고리스 피르필리스. 새롭게 출시하는 아이 메이크업 컬렉션 ‘르 르가르 에르메스’ 론칭을 기념하며, 브랜드를 이끄는 원동력과 비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THE WORLD'S BEST BARS 50, ZEST
지난 10월 17일 싱가포르에서 ‘2023 월드 베스트 바 50’이 공개됐다. 세계 각지의 칵테일 문화를 이끄는 비전 있는 바텐더와 도전적인 바가 고루 선정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스트’가 첫 진입하며 18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를 이끄는 대표 김도형의 인터뷰를 소개한다.
YEAREND NIGHT
한 해를 갈무리하는 지금, 소중한 이들과 함께하는 식사 자리는 더없이 특별해야 한다. 5가지 홀리데이 무드를 품은 테이블로 호화롭게 무르익을 연말을 완성해보자.
HOUSE OF GOD 2.0
팬데믹 이후 사람들의 삶이 크게 변화한 것처럼 종교 건축 역시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게 달라졌다. ‘신의 집’은 이제 ‘사람의 집’을 지향한다. 모든 사람을 향해 활짝 열려 있는, 따뜻하게 환영하는 공간. 너그러운 포용을 통해 보다 시적이며 성스러운 공간이 된, 최근 세계 곳곳에 지어진 6곳의 종교 건축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