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뚜왈레Étoilée’ 컬렉션은 고대 로마제국의 모자이크 패턴에서 영감을 받았다. 섬세하게 얽힌 골드 체인 위에 다이아몬드로 표현한 백합 모티프가 눈부신 반짝임을 선사한다. 옐로 골드와 화이트 골드, 다이아몬드로 완성한 ‘에뚜왈레’ 브레이슬릿과 이어링, 네크리스 모두 부첼라티. 니트 톱은 로로 피아나.
부첼라티를 대표하는 ‘마크리Macri’ 컬렉션. 메종 고유의 ‘리가토’ 인그레이빙 기법으로 표현한 실크 같은 골드 표면이 특징이다. 블랙 DLC 처리한 화이트 골드에 옐로 골드와 다이아몬드로 장식한 ‘마크리 이터넬레’ 링, 볼륨감이 돋보이는 ‘마크리 클래시카’ 화이트 골드 펜던트, 백합 모티프를 오픈워크 기법으로 표현한 2가지 버전의 ‘마크리 질리오’ 브레이슬릿, 왼손에 착용한 ‘마크리 이터넬레’ 화이트 골드 링, 로즈 윈도에서 영감 받은 로제트 장식을 더한 3가지 버전의 ‘마크리’ 브레이슬릿 모두 부첼라티.
독창적인 스레드 공예 기법으로 완성한 ‘하와이Hawaii’ 컬렉션. 이탈리아 전위예술 운동에서 영감받아 미래주의와 기계문명의 속도감을 예술적으로 표현했다. 옐로 골드와 화이트 골드에 다이아몬드의 반짝임이 어우러진 ‘하와이’ 이어링과 브레이슬릿, 옐로 골드로 제작한 ‘하와이’ 네크리스, 기하학적 디자인의 ‘롬비 이터넬레’ 링과 핑크 골드 소재의 ‘하와이’ 링 모두 부첼라티. 재킷은 매그파이.
‘마크리 클래시카 이터넬레’ 옐로 골드 링과 핑크 골드 링, 볼륨감 있는 하트 모티프가 매력적인 ‘마크리 클래시카’ 펜던트, 오른손에 착용한 머더오브펄 다이얼의 ‘마크리’ 워치, 옐로 골드에 오르가토와 리가토 기법으로 인그레이빙한 서로 다른 두께의 ‘마크리 클래시카’ 브레이슬릿, 왼손에 착용한 ‘마크리 클래시카’ 핑크 골드 브레이슬릿, 리가토 기법만 적용한 간결한 디자인의 ‘마크리 클래시카’ 핑크 골드 브레이슬릿 모두 부첼라티. 오프숄더 재킷은 가브리엘라 허스트.
화관에서 모티프를 얻은 기하학적 장식의 ‘길란다Ghirlanda’ 컬렉션. 골드를 자르거나 붙이지 않는 ‘트라포로Traforo’ 기법으로 섬세한 크로셰 디자인을 완성했다. 화이트 골드에 핑크 사파이어를 세팅한 ‘길란다’ 이어링, 완벽한 원형을 이루는 ‘길란다’ 네크리스, 오른손에 착용한 ‘롬비 이터넬레’ 화이트 골드 링과 대담한 두께의 ‘커프’ 브레이슬릿, 왼손에 착용한 다이아몬드 세팅의 ‘길란다’ 브레이슬릿 모두 부첼라티. 화이트 셔츠는 베르사체.
볼륨감 있는 원형 모티프의 ‘마크리 클래시카’ 이어링, 오른손에 착용한 ‘마크리 클래시카 이터넬레’ 옐로 골드 링과 핑크 골드 링, 둥근 봄베 형태의 ‘마크리’ 브레이슬릿, 기하학적인 장식으로 화려한 매력을 강조한 ‘마크리 AB’ 브레이슬릿, ‘마크리’ 핑크 골드 브레이슬릿, 오픈워크 기법이 돋보이는 ‘마크리 질리오’ 브레이슬릿, ‘마크리’ 옐로 골드 브레이슬릿, 2가지 골드와 다이아몬드가 조화로운 왼손의 ‘롬비 이터넬레’ 링 모두 부첼라티. 드레스는 미스지 컬렉션.
MODEL 한효주 HAIR 조미연 MAKEUP 정수연 STYLIST 박만현, 김경선 ASSISTANT 이나래
COOPERATION 부첼라티(6905-3490)
Related articles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남다른 시선
메이크업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에르메스 뷰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그레고리스 피르필리스. 새롭게 출시하는 아이 메이크업 컬렉션 ‘르 르가르 에르메스’ 론칭을 기념하며, 브랜드를 이끄는 원동력과 비전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THE WORLD'S BEST BARS 50, ZEST
지난 10월 17일 싱가포르에서 ‘2023 월드 베스트 바 50’이 공개됐다. 세계 각지의 칵테일 문화를 이끄는 비전 있는 바텐더와 도전적인 바가 고루 선정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스트’가 첫 진입하며 18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를 이끄는 대표 김도형의 인터뷰를 소개한다.
YEAREND NIGHT
한 해를 갈무리하는 지금, 소중한 이들과 함께하는 식사 자리는 더없이 특별해야 한다. 5가지 홀리데이 무드를 품은 테이블로 호화롭게 무르익을 연말을 완성해보자.
HOUSE OF GOD 2.0
팬데믹 이후 사람들의 삶이 크게 변화한 것처럼 종교 건축 역시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게 달라졌다. ‘신의 집’은 이제 ‘사람의 집’을 지향한다. 모든 사람을 향해 활짝 열려 있는, 따뜻하게 환영하는 공간. 너그러운 포용을 통해 보다 시적이며 성스러운 공간이 된, 최근 세계 곳곳에 지어진 6곳의 종교 건축을 소개한다.